2012년 5월 12일 토요일

"주요 사업 내용"

가. 스토리텔링랩
1) 분야 : 기존 미디어 /뉴미디어 전반
2) 정의 : 다종, 다량의 스토리 생산과 뉴미디어에 최적화 된 스토리 개발을 위한 유형연구
3) 주요기술 : 드라마틱 스토리텔링 및 집단작가 시스템
4) 응용 콘텐츠 장르 : 뉴미디어 스토리텔링, 유비쿼터스 스토리텔링, 소셜네트워크 스토리텔링, 영화 및 드라마 스토리텔링, 게임 스토리텔링
5) 목표 : 모든 융합 콘텐츠의 기반이 될 스토리텔링 도구 개발 및 적용으로 콘텐츠 경쟁력 강화

나. 게임/인터렉션랩
1) 분야 : 게임/가상현실/융복합/미디어아트
2) 정의 : 체험과 가상세계가 융합된 혼합현실 첨단기술개발
3) 주요기술 : 게임개발, 인터렉티브 콘텐츠, 개인 맞춤형 콘텐츠, 오감 체험형
콘텐츠, 위치기반기술
4) 응용 콘텐츠 장르 : 게임, 미디어아트, 공연, 전시, 융복합콘텐츠, 가상현실 등
5) 목표 : 체험형 콘텐츠 기술과 콘텐츠 발전으로 혼합현실 분야 확대 촉진

다. 비주얼테크놀러지랩
1) 분야 : 첨단 공연/전시 콘텐츠
2)정의 : 첨단 기술과 결합하여 관객의 몰입감을 극대화한 공연/전시 콘텐츠
3)주요기술 : 홀로그램, 무대자동화, 가상리허설, 가상전시 공간기술, 전시 인터렉션기술 등
4)응용 콘텐츠 장르 : 뮤지컬, 연극, 콘서트, 패션쇼 등 공연, 엑스포, 박물관 등 전시, 미디어아트 등
5)목표 : 콘텐츠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가능한 상용화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콘텐츠 제작경쟁력 강화



라. 콘텐츠 산업 및 문화정책연구 랩
1) 분야 : 장단기 문화정책 전반
2)정의 : 문화행정 전반에 걸친 문화정책들을 연구하고 새로운 정책과 대안을 제시한다.
3)주요기술 : 문화기술 환경 연구, 문화공간 연구, 문화예술교육체계 연구, 창작 및 유통활성화 연구등
4)응용 콘텐츠 장르 : 문화기술 및 교육프로그램 제안
5)목표 : 변화하는 문화기술 및 교육 사회의 현실적 요구에 부응하는 제반 문화정책 개발 및 보급

* 프로젝트(Project)
- 문광부, 컨텐츠진흥원, 기업 문화재단 등의 지원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
- 문화관련 정부공기업, 정부지원 예술단체, 엔터테인먼트 기업 등과의 유대를 확대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점진적으로 대기업과의 산학관계 확립
- 관련 학회의 참여를 통한 국내, 외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추친 및 연구범위확대
- 점진적으로 카네기멜론대학의 ETC (Entertainment & Technology Center)와 같은 유사 연구기관과의 연대 확대

* 리서치(Research)
- 학제간 융합과 시너지를 통한 틈새 장르 개척 및 新연구주제 발굴
- 연구와 구현을 병행하여 실험성과 창의성 확장
- 실용학문의 특성을 활용한 workshop 및 seminar 개최
- 엔터테인먼트 및 문화기술 분야의 학문적 기반 확보를 통한 산업발전에 기여
- 참여연구원들의 다학제적 연구역량 개발 및 경쟁력 확보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